본문 바로가기
건강

오십견 원인과 증상. 오십견의 다른 표현 동결견, 유착성 관절낭염

by 4라이프 2023. 5. 12.

오십견 원인과 증상

오십견은 동결견, 유착성 관절낭염이라고 합니다.

 

어깨관절에 통증과 관절의 움직임에 제한이 생기는 질환으로 전체 인구의 2% 정도에서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오십견이라고 해서 50대에서만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40대 이전이나 60대 이후에서도 발생합니다.

 

오십견의 대부분은 저절로 회복됩니다.

그러나 회복되는데 1~2년 정도로 시간이 많이 걸리고, 90% 정도는 거의 정상적인 범위로 돌아오지만 10% 정도는 회복 후에도 관절 운동 범위가 제한되거나 만성통증이나 후유증이 남기도 합니다.

 

 

 

 

오십견의 원인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는데 특발성과 이차성으로 구분합니다.

 

- 특발성 오십견

특발성이라는 것은 특별한 원인이 없이 어깨관절 내의 연부 조직의 점진적인 구축으로 통증과 관절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경우입니다.

 

- 이차성 오십견

질병이나 외상 등으로 발생하는 것을 말하며, 견관절 주위에서 생기는 내인성과 질환 등으로 생기는 외인성으로 구분합니다.

 

어깨관절 주변 조직의 허혈로 세포의 무산소 대사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 등 여러 가설이 있으나 하나의 원인이라기보다는 여러 기전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합니다.

 

 

 

 

오십견의 증상

 

  • 초기에는 어깨를 안쪽으로 돌리기 힘들어진다.
  • 이후 팔을 앞으로 들기 힘들어진다.
  • 팔을 밖으로 회전하기 힘들어진다.
  • 머리를 만지거나 뒷목 쪽에 손이 가기 힘들다.
  • 밤에 어깨 관절 부분에 통증이 있다.

 

 

오십견 증상 발현 기간 및 양상

 

- 제1기

  • 통증이 나타나기 시작해서 약 3개월 정도까지 기간으로
  • 어깨 관절 통증이 증가하며
  • 어깨를 스스로 움직이는데 통증이 있다.
  • 이후 움직이지 않을 때도 통증이 있다.
  • 통증은 있지만 어깨관절 움직임의 범위는 제한이 없다.

 

- 제2기

  • 어깨 통증이 시작된 지 3개월 정도에서 12개월 정도 기간
  • 어깨관절을 움직일 때 통증이 있지만
  •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으면 통증이 줄어든다.
  • 어깨관절의 움직임의 범위에 제한이 있다.

 

- 제3기

  • 어깨 통증이 발생한지 12개월에서 18개월 이상의 기간
  • 통증이 경미해지지만
  • 어깨관절을 움직이면 통증이 있다.
  • 어깨관절이 제한되어 있는 범위를 넘어 움직이려 하면 통증이 있다.
  • 어깨 관절의 움직임의 제한이 남아있다.

 

 

 

오십견이 발생하면 저절로 회복된다고 참고 기다리기보다는 병원을 방문해서 원인을 찾아보고 적절한 처방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오십견 초기부터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고통받는 기간이 줄어들거나, 통증의 정도가 완화될 수 있고, 후유증 등의 발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