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퇴행성 무릎 관절염 증상과 권장되는 운동, 생활 습관

by 4라이프 2023. 8. 11.

퇴행성 무릎 관절염 증상과 권장되는 운동, 생활습관

 

무릎 관절안에 있는 연골이 점점 없어져 뼈와 관절막, 인대 등이 손상되어 염증과 통증을 일으키는 질병이 무릎 관절염입니다.

 

 

무릎 관절염의 단계

 

0기 : 정상적인 상태

1기 : 관절의 간격이 좁아지는 단계

2기 : 관절의 간격이 좁아지고, 골극이 드러나는 단계

3기 : 관절의 간격이 눈에 띄게 좁아지고, 연골 손상이 있는 단계

4기 : 관절이 거의 맞붙고, 골 변형이 심한 단계

 

 

무릎 관절염의 증상

 

1기는 무릎 관절에 가끔 통증이 있고, 가끔 관절 주변이 붓기도 합니다.

2기는 무릎관절 통증과 관절 부위가 붓는 것을 자주 느끼는 단계입니다.

 

 

 

 

 

 

 

무릎 관절염의 단계별 치료방법이 있지만, 모든 단계에서 공통으로 해야 하는 기본적인 치료방법은 체중관리, 생활 습관 개선, 규칙적인 운동을 통한 근력 강화입니다.

 

 

무릎 관절염 환자에게 가장 기본적인 치료와 관리 방법은 규칙적인 운동입니다.

 

 

관절에 무리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 꾸준하게 운동하여 근력을 강화시키고, 균형감과 유연성을 향상시키면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운동은 처음에는 낮은 강도로 시작해서, 점점 강도와 시간을 늘려가는 방식으로 진행해야 합니다.

개인마다 나이, 근력, 관절염의 상태, 통증의 정도가 다르므로 모두 같은 운동강도로 진행할 수는 없습니다.

 

 

 

 

 

 

운동의 강도와 시간

 

운동 후 통증이 없을 정도까지만 하고, 이후 서서히 늘려가도록 합니다.

또는 운동 중 약간의 통증이나 불편함이 있더라도 5분 이내에 가뿐해지는 정도의 강도와 시간만 운동하고, 이후 서서히 늘려갑니다.

 

만약, 운동 후에 열감이나 통증, 부종 등이 있다면 냉찜질을 해주어 증상을 줄여줍니다.

 

 

 

 

 

 

 

무릎 관절염은 만성적인 퇴행성 질환으로 완치될 수는 없습니다.

건강에 좋다는 여러 가지 식품들도 있는데 어느 정도 도움은 될 수 있지만 치료 효과가 있다기에는 아직은 부족합니다.

 

무릎 관절염이 있다 해도 적절하고 꾸준한 운동을 해주면 다시 정상 구조로 회복될 수는 없지만 퇴행을 늦추거나 정상적인 생활을 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