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원인과 증상

by 4라이프 2023. 4. 14.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원인과 증상

 

외상후 스트레스란?

 

사람들은 두려웠던 경험, 끔찍했던 경험, 죽을 정도로 심한 충격이나 상황을 경험하면, 위험했던 상황이 떠오르고 힘들지만 대부분은 1~2주 정도면 무서웠던 기억이 점점 잊혀지면서 안정을 찾게 됩니다.

 

그러나 열 명중 한 명 정도는 그러한 무서웠던 기억이 한 달 이상 지속되면서  불안과 긴장으로 시달리는 데, 조그만 자극에도 극도로 예민해지는 것과 무기력한 상태가 번갈아 나타나는 것을 외상후 스트레스라고 합니다.

 

외상후 스트레스는 성별이나 연령, 정신적 의지의 강함과 약함에 관계없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외상후 스트레스 원인

 

1. 사고 충격의 크기

재난, 신체 손상을 동반한 교통사고, 성폭력과 이로 인한 수사와 재판 등 지속적으로 피해를 떠올려야 하는 상황 등

사고의 강도나 크기에 대한 개인적인 기질, 사고의 반복 등

 

2. 뇌의 변화

뇌의 깊숙한 곳에 위험이 발생했을 때 반응하는 편도라는 기관과, 위험이 해소되었을 때 완화시키는 전대상피질이라는 기관이 있는데, 완화시키는 기능의 활성화에 이상이 있어 긴장상태가 잘 완화되지 않는 경우

 

3. 다른 정신장애 관련

우울장애나 물질관련장애가 있는 사람의 경우, 사고의 강도가 같다 해도  장애가 없는 사람보다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또한 사고로 인해 외상이 생기는 경우 정신장애가 생길 수 있습니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

 

사고 후 초기에는 악몽이나 사고와 관련된 두려움 등이 주된 증상이며,

시간이 지나면서 우울증, 불면증, 알코올 의존 등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작은 소리에도 예민해짐
  • 사고와 관련된 자극으로부터 회피
  • 무기력해지거나 멍하게 있음
  • 사고 관련 악몽
  • 사고 장면이 재현되는 플래시백
  • 지속적인 긴장감, 불안감
  • 사람들과 동떨어진 느낌
  • 죄책감, 분노 등의 감정

 

 

소아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

 

  • 사고에 대한 악몽, 불안감
  • 보호자와 떨어지는 것을 두려워하는 분리불안
  • 나이보다 더 어려지는 퇴행적인 행동
  • 사고와 관련된 자극의 회피
  • 수면 중 자주 깨서 보채거나 잠들기 힘듬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예방하는 가장 중요한 것은

사고가 있었을 경우 초기부터 적절한 대응을 하는 것입니다.

 

사고에 대한 불안과 충격에서 회복할 수 있도록 사고 초기부터 대응한다면 심각한 상황으로 이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사고 후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을 보인다면 병원을 방문해서 정신건강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